게임업계뉴스

DX11 테셀레이션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3. 29. 11:27


DX11과 테셀레이션 등장으로 다시 치열해진 신기술 경쟁

그래픽카드 시장은 성능 경쟁 외에도 신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해 사용자들에게 주목되지 않거나 주목되더라도 게임 개발사들에서 적극적으로 이를 이용하지 않은 기술은 게이밍 환경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해 사라지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3D 그래픽이 부각된 이후 DirectX가 표준으로 자리잡으면서 엔비디아 (NVIDIA) 지포스 8800 시리즈의 성공과 함께 시작된 DirectX 10, AMD ATI 라데온 HD 5800 시리즈를 시작으로 엔비디아 지포스 GTX 400 시리즈 등장에 이은 DirectX 11이 현재 진행중이다.

[DirectX 11의 테셀레이션 (Tessellation), 이전보다 사실적인 표현]

그러나, DirectX 10은 윈도우 비스타 운영체제에서만 동작해 그당시 가장 많은 사용자들을 보유했던 윈도우 XP 운영체제의 전환을 요구했으나 결국 윈도우 비스타의 부진으로 DirectX 10이 이전 세대보다 크게 발전된 모습을 보였음에도 좀처럼 많은 사용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내는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DirectX 11은 윈도우 7의 등장과 성능과 기능을 개선한 새로운 세대의 그래픽카드들의 등장에 힘입어 이들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DirectX 10보다 많은 사용자들의 호응을 얻어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이와함께 이전의 그래픽 디테일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던 방식을 탈피할 수 있는 테셀레이션이 본격적으로 등장함으로써 DirectX 11은 성능 경쟁과 함께 신기술 경쟁의 장을 열었다.

DirectX 11 세대에서는 라인업을 이미 갖춘 AMD ATI와 이제 막 페르미 (Fermi) 기반 지포스 GTX 400 시리즈를 내놓고 라인업을 형성하기 시작한 양사의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페르미는 새로운 DX11을 기다려온 사용자들에게 경쟁 제품인 라데온 HD 5800 시리즈와 비교하여 게임 성능을 크게 압도하지 못하고 발열과 소비전력도 상대적으로 더 높아 많은 논란을 만들어왔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지포스 GTX 400 시리즈는 DirectX 11과 테셀레이션에서는 강점을 가져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새대의 전환을 역설했다. 그간 엔비디아는 새로운 기술을 주장하면서 개발사와의 협력, 소프트웨어가 바탕이 되어 새로운 기술을 뒷받침해 표준 또는 그에 준하도록 만들어왔다는 것을 고려하면 전혀 억지스러운 주장으로만 들리지는 않는다.



계속해서 2페이지 테셀레이션 구현이 다른 엔비디아와 AMD ATI가(이) 이어집니다.


권경욱 전문기자 / viper2@bodnara.co.kr


[관련기사]

[게이밍벤치마크]이엠텍 VGA 25종으로 보는 환골탈태한 크라이시스2 DX11 성능
GTX460 768MB을 대체할, 게인워드 지포스 GTX 460 SE
다가오는 업그레이드 시즌, 그래픽 카드의 선택은?
지포스 GTX 460을 위한 듀얼 쿨링팬 쿨러 4종 벤치마크
오버 잘되는 GTX460, 성능과 전력의 최적 효율은?
Creative Commons License 보드나라의 기사는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원본 배포처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원본 배포처 가기



피직스가 처음나왔을때도 지릴뻔했었지만 이 테셀레이션이란것도 진짜 엄청나네요

로폴을 자체적으로 연산해서 쪼개주는 기능인거 같은데 더이상 로폴이 로폴이 아니게 되어버리네요 ㅎ

현재 우리 개발팀이랑은 크게 관련없는 기술이슈이지만 그래도 흥미로운 기사인거같아서 올려봅니다


몰랐는데 이미 적용되어있는게임이 꽤 있는거 같네요 정말 기술의 발전이 엄청난거 같음요 ㅎㅎ

기사내용이 너무 길고 내용이 이해하기 어려운감이있어서 실제로 적용했을때 어떤 효과를

보여주는지를 알기위한 링크하나 걸어둡니다 (기사에도 예시가 있지만 좀 티가 안남)


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detail/read?articleId=3690350&bbsId=G001